728x90
반응형
목차는 cloud 목차 에 있습니다.
나중에 찾아볼려고 정리했습니다.
[cloud 1편] 가상화, 컨테이너, VM
클라우드
- 공유 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입니다.
가상화
- 물리 서버 위에 여러개 가상 서버를 만들수 있으며, 물리 서버의 자원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보통 물리 서버 위에 웹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한다면 남는 자원이 생길 수 있지만, 가상 서버를 여러개 할당해서 운영한다면 자원을 최대한 운영할 수 있습니다.
- 가짜 하드웨어 환경을 만들어내는 호스트와 가짜 하드웨어인 게스트로 이루어집니다.
- 가상화 기술을 통해 OS, 네트워크, 컨테이너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.
API
- 공유 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추상화 레이어입니다.
- 각 컴퓨팅 리소스 (네트워크, 큐, 모니터링,서버 등) 에 접근하기 위해 전문 스펙이 다르기에 추상화 레이어가 필요합니다.
컨테이너
- 격리된 환경과 제한된 리소스로 제어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.
- OS 위에 MySQL 컨테이너, nginx 컨테이너 등이 올라가서 독립적으로 수행됩니다.
- VM 과 다른점은 같은 OS 를 사용하다보니 공통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, 이는 적은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
VM
- VM 은 컨테이너와 다르게 OS 까지 별도로 설치해 서버 안에 서버 (가상) 라는 별도 자원을 만듭니다.
- Hardware 위에 OS 가 각각 별도로 만들어지며, 별도로 만들어진 OS 위에서 Application 이 수행됩니다.
- 컨테이너 가상화에 비해 자원이 비쌉니다.
Reference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loud 4편] 네트워크 가상화 (0) | 2023.01.08 |
---|---|
[cloud 3편] xen, kvm (0) | 2023.01.08 |
[cloud 2편] 하이퍼바이저 (0) | 2022.12.3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