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363 git Pull Request 날렸는데 conflict 났을 때 해결방안 Pull Request 날렸는데 conflict 났을 때 해결방안 develop --> master pull request 날렸는데 conflict 나서 merge 안되는 현상. 해결방안은 develop 에 checkout 해놓고. (현재 브런치 develop 으로 설정) master 를 pull 하면 소스 충돌 남. 충돌난 것을 해결한 후, develop 에 commit (충돌난 소스 수정) develop —> master Pull Request 요청 reference https://planbs.tistory.com/entry/Git-Pull-request에서-발생하는-충돌-해결하기 참고 2020. 9. 2. spring-batch RunIdIncrementer 정리 spring-batch RunIdIncrementer 정리 Spring Batch에서는 동일 파라미터인데 다시 실행하고 싶을때, RunIdIncrementer 를 제공. RunIdIncrementer 이 Job 에 달려있으면 내가 파라미터를 달리줘도 같은 파라미터로 실행 됨. 이 말은 내가 최종적으로 실행한 아규먼트로 실행 됨. date=20200801 로 했는데 date=20200810 으로 변경이 안됨. RunIdIncrementer 제거하고 돌리면 파라미터가 변경 됨. return jobBuilderFactory.get("testJob01") // .incrementer(new RunIdIncrementer()) .start(testStep01()) .build() ; 2020. 9. 1. unix 파일 시스템 및 용량 (디스크, disk) 확인 파일 시스템 용량 확인 df :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크기, 사용량 등 확인 df -k (kilobyte) 단위 df -m (megabyte) 단위 du 정리 du : 파일들의 용량 확인 du -sh * :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서브 디렉토리들의 용량 표시 du -shm * :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서브 디렉토리들의 용량 표시 (megabyte) 로 표시 2020. 8. 31. 쿽소트와 머지소트의 최악의 경우 시간복잡도. 둘의 차이점. 퀵소트와 머지소트의 최악의 경우 시간복잡도 퀵소트 최악의 경우 O(n제곱) 퀵소트는 Pivot 이 비교할 때마다 끝까지 다 비교하면 n번 비교할테니 높이 n 과 비교 하는 횟수 n 으로 인해 O(n제곱). 머지 소트 O(nlogn) 머지 소트는 분할을 전부 한 후, 마지막에 비교하는 것이기에 최악의 경우라도 O(nlogn) 왜냐하면 높이 logN * 전부 비교한다고 해도 kn 이니 logN*N 이 시간 복잡도 퀵소트와 머지소트 차이점 차이점은 퀵소트는 메모리를 안쓴다는 거고. 머지 소트는 입력 배열과 동일한 배열이 필요 (메모리 사용) 2020. 8. 30. 이전 1 ··· 60 61 62 63 64 65 66 ··· 91 다음